원예 스마트팜 지원사업-노지

스마트팜이란?

  • 비닐하우스·유리온실·축사 등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

스마트팜 분야별 적용

원예 스마트팜 지원사업-노지

스마트팜 운영원리

  • 생육환경 유지관리 SW(온실·축사 내 온·습도, CO2수준 등 생육조건 설정)
  • 환경정보 모니터링(온·습도, 일사량, CO2, 생육환경 등 자동수집)
  • 자동·원격 환경관리(냉·난방기 구동, 창문 개폐, CO2, 영양분·사료 공급 등)

스마트 팜 기대 효과

  • ICT를 접목한 스마트 팜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 노동·에너지 등 투입 요소의 최적 사용을 통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미래성장산업으로 견인 가능
  • 단순한 노동력 절감 차원을 넘어서 농작업의 시간적·공간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여유시간도 늘고, 삶의 질도 개선되어 우수 신규 인력의 농촌 유입 가능성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

노지 스마트팜
  •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습도, 기상상황 등을 모니터링 하고  원격으로 관수, 병해충 관리 등이 가능한 스마트 채소밭

스마트 채소밭 구성도

스마트 채소밭 주요 구성요소

구분세부내역
환경센터내부온도, 습도, CO2, 토양수분(토경), 양액측정센서(양액농도 EC, 산도 PH), 수분센서(배지) 등
외부온도, 습도, 풍향/풍속, 강우, 일사량 등
영상장비적외선카메라, DVR(녹화장비) 등
시설별 제어 및 통합제어 장비환기, 난방, 에너지 절감시설, 차광 커튼, 유동팬, 온수/난방수 조절, 모터제어, 양액기 제어, LED 등
최적 생육환경 정보관리시스템실시간 생장환경 모니터링 및 시설물 제어 환경 및 생육정보DB 분석시스템 등

지원사업 – 과수분야

‘과수분야 스마트 팜 확산’사업이란?‘

  • 스마트 팜’을 지원하는 사업
  • 스마트 팜의 환경 관리, 생장 관리에 필요한 시설 지원
  • 환경관리: 온도·습도·토양수분·풍속 등에 대한 정보수집 및 원격 모니터링
  • 생장관리: 병해충관리, 냉한해 방지, 적정관수, 도난방지 등 통합 관리
  • 정보분석: 축적된 생육정보 DB를 활용한 분석 및 컨설팅 지원

사업 대상자

  • 사과, 배, 감귤 등의 작물이 식재되어 있고 관수 등이 가능한 과수원(시설·노지)을 운영하는 과수재배 농업경영체 누구나
    ※ 사업 예정지는 1,000㎡ 이상이어야 하며, 10,000㎡를 기본 단위로 규모별 적용

지원 자격

  •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한 농업인·농업법인·생산자단체 지원

우선 지원

  • 조직 단위로 신청한 농가, 수출 농가, 친환경·GAP·재해보험·계약재배 농가, 지역단위 푸드플랜에 참여(또는 참여약정)하고 있는 농가
  • 산지 유통 혁신 조직 시범 사업에 참여(또는 참여 약정)하고 있는 농가 등은 가점 부여 대상

사업 신청

  • 사업 예정지 또는 농가 주소지 관할 시·군의 농정과에서 신청
  • 단, 해당 시·군으로부터 지방비 확보 및 지원 가능성을 사전에 확인

절차

  • 사업 신청 농가는 e나라도움에 사업을 신청(사업계획서 등록)
  • 사업신청자는 사업시행기관에 사업신청서를 제출
  • 전문 평가위원단에서 사업 신청서류와 현장평가를 실시
  • 최종 선정 후 ICT 장비 공급업체와 계약하여 사업 추진

지원 대상

  • 사업자별 사업 계획 확정 결과에 따라 ICT 융복합 시설장비 및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조·융자 지원
    ※ ICT 기반구축 시설·장비도 신청 가능 (단, 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원예시설현대화사업에서 지원되는 시설 · 장비에 한정)
  • 센서장비 : 온도/습도, 풍속, 강우, 토양수분, 병해충 예찰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장비
  • 영상장비 : 영상모니터링 장비 등
  • 제어장비 : 관수, 시비, 농약살포 등의 제어를 위한 ICT 융복합 통합 제어장비 등
  • 정보시스템 : 과수원의 센싱·제어정보의 모니터링, 제어 및 분석 등을 위한 정보시스템 등

지원형태

  • 국고 보조금 20%, 지방비 30%로 총 50% 지원
  • 자부담 20%, 융자 30%로 총 50%는 본인 부담금
    ※ 융자 및 자부담을 지방비로 대체 가능
  • 융자금리 : 고정 2.0%, 변동(시중금리*-2.0%), 3년 거치 7년 균분상환
  • 대출취급기관 : 농협은행(농 · 축협 포함)

지원 범위

  • 사업비 상한액은 2억원
  • 표준사업비는
    • 시설의 경우, 0.33ha(1,000평) 기준 복합환경관리 2천만원, 단순환경관리 7백만원
    • 노지의 경우, 1ha(약 3,000평) 기준 2천만원

※ 사업집행 시에는 실 단가를 적용하되, 사업주관기관장 책임 하에 검토 확인(사업비 산출근거, 견적서, 원가계산서, 타 지자체 사례 등)을 거쳐 집행

전국 지원센터 현황

구분센터명담당자연락처
1강원도 농업기술원이원경 연구사033-248-6045
2경기도 농업기술원김혜형 연구사031-8008-9327
3경상남도 농업기술원최병걸 지도사055-254-1822
4경상북도 농업기술원정정수 주무관053-320-0240
5전라남도 농업기술원윤가윤 연구사061-330-2552
6전라북도 농업기술원송강근 지도사063-290-6115
7충청남도 농업기술원전경은 연구사041-635-6080
8충청북도 농업기술원전승규 지도사043-220-5753
9제주도 농업기술원송준호 지도사064-760-7542
10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박다은 지도사062-613-5312
11경기 화성시 농업기술센터권건우 지도사031-5189-3626
12경남 거창군 농업기술센터강병우 주무관055-940-8254
13경북 고령군 농업기술센터오세화 지도사054-950-7384
14경북 예천군 농업기술센터박정호 지도사054-650-6487
15전남 화순군 농업기술센터최재혁 지도사061-379-5422
16전남 장흥군 농업기술센터장수혁 지도사061-860-6542
17전남 함평군 농업기술센터공인배 지도사061-320-2482
18전북 부안군 농업기술센터이형원 지도사063-580-3846
19전북 남원시 농업기술센터윤지현 지도사063-620-8032
20충북 괴산군 농업기술센터박재필 지도사043-830-2763
업데이트 기준일: 2024년 3월 말 기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