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 질환

편도(선)

  • 목안, 코 뒷부분에 위치한 기관으로 림프구가 풍부하여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 코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서 반응을 하고, 주로 점막의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
  • 편도선이라고도 함

  • 림프구가 풍부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일차적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면역기능을 수행
  • 출생 시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면역학적으로 4-10세에 가장 활발하다가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

편도 질환
출처 질병관리청

편도의 종류

인두 편도

  • 코와 목구멍 사이에 위치하며 아데노이드라고 부름

이관편도(귀인두관 편도)

  • 인두편도와 마찬가지로 코와 목구멍 사이에 위치

구개편도(목구멍 편도)

  • 입을 벌리면 보이는 부분으로 구인두의 양쪽으로 위치 

설편도(혀 편도)

  • 혀의 뿌리에 위치하여 직접 관찰하기는 힘듦

질환

편도선염

  •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전신의 저항력이 감소하였을 때 편도 내 세균으로 인해 급성 감염이 일어나는 질환

편도결석

  • 편도와 편도 내에서 상피 조직의 파편이 축적되어 생기는 노란 알갱이

편도비대

  • 세균 감염 반복, 비강 또는 부비동의 만성염증

아데노이드비대

  • 아데노이드 비대를 동반한 편도 비대의 가장 큰 원인은 급성 세균 감염의 반복, 비강 또는 부비동의 만성 염증 등

진단 및 검사

  • 문진, 내시경, X-ray, CT 등

치료

비수술적 치료
  • 충분한 수분 섭취, 휴식,가글 등 구강 청결
  • 약물치료
  • 사실상 비수술적 치료 전무
수술
  • 기본적으로 절제하는 수술
  • 전부 절제 또는 부분 절제의 차이

수술 방법 – 영상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