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타이트 접착제 가이드
참고사항 – 성능

참고사항 – 작업

- 극성 용제: 물, 에틸렌글리콜, IPA, 아세톤
- 비극성 용제: 모터오일, 톨루엔, ATF오일, 가솔린
-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접착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ABS 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스트레스 크랙킹을 야기할 수 있음
- 우레탄 핫멜트는 완전경화를 위해 24시간 이상 필요함
혐기성 접착제란?
- 금속 간의 접합 부분에 공기가 차단될 경우 경화가 시작되는 특성을 가진 접착제
경화 조건
▶ 재질
- 플라스틱에도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혐기성 접착제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혐기성 중합 반응을 위해서는 금속 이온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금속 재질의 접착 표면에만 적용
▶ 산소 차단
- 대기 중의 산소는 혐기성의 중합개시 반응을 방해 됨
- 대기 중에 노출된 혐기성 접착제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경화가 일어나지 않음
- 볼트를 너트에 삽입하거나 베어링에 축을 끼워 넣는 등의 공기를 차단 시키는 상황이 발생해야 경화 진행

혐기성 접착제에 프라이머의 사용이 필요한 이유
- 비활성 금속의 표면을 활성화
- 경화 시간 단축
- 큰 갭과 깊은 나사산에도 적용 가능
- 차가운 부품에서 경화 시간 단축
- 표면을 세척하는 역할
- 활성 금속(프라이머 옵션): 황동, 동, 청동, 철, 연철강, 니켈
- 비활성 금속(프라이머 필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마그네슘, 아연, 흑산화철, 카드뮴, 티타늄, 기타
접착 용어
▶ 초기 고정 시간(Fixture time)
- 접착제 도포 후, 초기에 고정되어 핸들링이 가능한 수준의 접착력이 발휘되는 시간 (약 0.1N/mm2 의 접착력)
▶ 완전 경화 시간
- 접착제의 중합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져 더 이상의 화학변화가 없을 때까지의 경과시간
강도의 종류

▶ 칙소성(Thixotropic)
- 외부에서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 성질
- 작업성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성질로서, 도포 시에는 흐름성이 좋다가 도포가 된 후 에는 순간적으로 증점이 되어 주변으로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성 향상
▶ 파괴토크(Breakloose Torque)
- 접착제가 파단된 후, 추가로 토크를 가할 경우 파단된 접착제의 반발 작용으로 걸리는 토크
▶ 경도(Hardness)
- 재료의 경도는 긁힘 또는 압입(indentation)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으로 측정
-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도 시험은 표준 조건에서 재료의 압입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는 것 - 표준 형태의 단단한 압입 물체(indenter)를 특정 부하에서 재료의 표면에 대고 눌러, 그 결과 나타난 압입의 면적이나 깊이를 측정하여 수치로 환산
-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플라스틱의 경우 구슬 경도 방법, Rockwell 방법 및 Shore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
▶ 신율(Elongation)
- 장력 상태에서 시편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
- 통상 원래 길이의 몇 %라고 표현
- 파단신율이란 특정한 시편이 일정한 통제된 조건 하에서 파단되기 전까지 신장하는 양을 말하며 %로 표기함
- 보고된 수치가 높을수록 재료의 신장 능력이 크며,‘변형(률)’이라고도 함
▶ 점도(Viscosity)
- 재료 내부에서 나타나는 안정적 흐름에 대한 저항
- 내부적 마찰, 또는 흐름에 대한 고분자의 용융 저항에 대한 측정값
- 시험에서는 액체의 전단률에 대한 전단 응력의 비율
▶ 2액형 접착제(2Component adhesive)
- 2액형 접착제는 Mix 타입 혹은 No-mix 타입이 있음
- Mix 타입은 일반적인 2액형 에폭시와 같이 주제,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
- No-mix 타입은 한쪽 면에 접착제, 다른 한쪽 면에 액티베이터를 각각 도포 후, 접합하는 방식으로 사전 혼합의 필요성이 없음
▶ 구조용 접착제(Structural adhesive)
- 구조물 접착에 사용하는 접착제로 각종 산업계에서 요구되는 충격, 기계적 스트레스에 따른 전단, 인장, 박리강도의 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제품으로 기존의 스크류,
리벳팅, 클립 작업을 대체시켜 주는 접착제